815해방과 민족분단 역사적 배경 

 

 

 

815해방과 민족분단 역사적 배경

 

 

1945년 8월 15일 일본이 연합국에 무조건 항복함으로써 한국은 일제의 식민지 지배로부터 해방된 815해방일이었는데요. 그러나 미·소 양국은 38°를 경계로 하여 남북에 각기 차지함으로써 국토와 민족은 분단을 겪게되고, 미·소의 냉전에 따라 분단은 더욱 굳어지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남한에서는 미군정하에 민족주의 진영과 공산주의 진영 사이의 대립이 날카로워 정국은 어수선한 상태였으며, 이승만이 미국에서, 김구 등 임정요인들이 중국에서 귀국했으나 혼란은 계속되는 역사적 배경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북한에서는 김일성을 위원장으로 하는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를 조직하여 공산주의 정치체제를 굳혀가게 되었는데요. 그동안 미소공동위원회와 좌우합작·남북협상 등이 진행되었으나 모두 실패하고 결국은 남북에 각기 대한민국(대통령 이승만)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김일성)이 성립되어 분단 상태는 결국 굳어지게 됩니다. 북한은 1950년 6월 25일에 무력에 의한 통일을 목표로 남침을 해오게 되었고 이 전란은 미군을 비롯한 16개국으로 구성된 국제연합(UN)군이 출동하여 저지했지만, 많은 인명과 물자의 손실을 가져왔고, 상호불신이 가중되어 통일의 희망은 더욱 멀어져가게 됩니다.

 

 

815해방과 민족분단 역사적 배경

 

 

이러한 남북의 대립 속에서 남한에서는 이승만의 독재가 심각해지자 1960년 4·19혁명이 일어나 민주정치의 기틀을 마련하게 되는데요. 하지만 박정희가 이끈 군인들의 5·16군사정변으로 군사정권이 들어서게 되고 오랫동안 군사독재가 지속되게 됩니다. 그러나 국민의 끈질긴 민주화 요구에 따라 1988년 제6공화국이 성립되면서 민주정치의 길이 열리게 되었고, 1993년 비로소 문민정부가 들어서게 되는데요. 문민정부시대를 연 김영삼은 하나회를 해체하고 금융실명제를 도입하는 등 재임 초반에 의욕적으로 개혁작업을 펼쳤지만 아들의 정치개입과 외환위기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처하지 못해 많은 국민으로부터 비난을 받게 되었습니다. 한편 북한에서는 김일성의 독재정치가 해방 후부터 계속되었으며, 그의 사망 이후 아들 김정일이 정권을 물려받아 봉건·세습 정치에서 탈피하지 못하게 되었습니다.

 

 

815해방과 민족분단 역사적 배경

 

 

1997년 남한에서는 오랜 세월 박정희 정권으로부터 탄압받아온 야당 정치인 김대중이 보수 성향의 자유민주연합 김종필과 이룬 대통령 후보 단일화에 힘입어 제15대 대통령에 당선되었는데요. 김대중은 외환위기를 무사히 넘기고 대북정책에서도 원조와 유화 위주의 햇볕정책을 구사해 북한으로부터 신뢰와 변화를 이끌어내는 데 성공했으나 재임 말기 두 아들이 잇달아 금품수수 혐의로 구속 수감되면서 부패 추문에 시달리게 되었습니다. 북한은 잇따른 식량위기를 맞아 고전을 면치 못하는 중에도 김정일 체제가 자리를 잡아가면서 핵문제를 둘러싸고 미국과 미묘한 줄다리기를 계속하는 상황이 되었는데요.

 

 

815해방과 민족분단 역사적 배경

 

 

2002년말 남한에서는 인권 변호사 출신의 온건한 개혁파인 새천년민주당 노무현 후보가 보수파인 한나라당의 이회창 후보를 근소한 표차로 누르고 대통령에 당선되어, 수십 년 간 냉전적인 체제를 다져온 한국 정치권에 일대 변혁을 예고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9·11테러 사건 이후 미국 부시 대통령이 이라크와 북한에 대해 계속 호전적인 경고를 보냈고, 그 결과 2003년 1월 10일 북한이 핵확산금지조약(NPT)을 탈퇴함에 따라 한반도는 긴장 상태에 놓이는 상황이 이어지게 되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해서 정치적인 태클 의견은 사양합니다.^^ 지극힌 개인적으로 자료를 바탕으로 그냥 정리한 내용이니까 다른 의견이 있다고 해서 막 지르시진 말아 주세요~)